우리나라에 만들어진 주식계좌가 몇개인지 아시나요? 5천만개라고 하는데 나라의 인구만큼 만들어진 것보면 주식이 우리나라에서 보편적인 재테크로 자리 잡은건가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도 알쏭달쏭한게 아직까지 주식이 어렵고 주식할 시간 없다고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 ETF를 소개해드립니다.
ETF란?
ETF는 무지개떡(기초지수)을 아주 작게 잘라서 우리가 사기 쉽도록 주식시장에 상장시켜놓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ETF안에는 종목이 작은 무지개떡 조각들이 비중대로 나뉘어서 들어 있기 때문에 우리가 무슨 종목을 살지 모를 때 여러 종목을 사는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죠. 시간이 없거나 개별종목을 분석하기 어렵다고 하시는 분은 여러 종목을 한번에 살 수 있는 ETF가 딱인거죠. 그리고 주식은 증권거래세를 내는 반면에 ETF는 거래세는 없지만 분배금이라는 이름으로 주식처럼 배당도 줍니다.
기초지수
ETF는 무지개떡 조각들을 기초지수라고 하는 것에 따라서 구성합니다. ETF를 알기 위해선 이 기초지수를 꼭 알아야합니다. 기초지수는 시가총액에 따라서 종목이 담겨있는 것인데요. 기초지수는 대표지수, 업종지수, 테마지수, 전략에 따라 만들어진 지수 등이 있습니다. ETF는 이 기초지수라는 거대한 무지개떡을 먹기 좋기 쉽게 조각내서 주식시장에 내놓은거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ETF도 ETF가 추종하는 기초지수에 따라서 대표지수 ETF, 업종지수 ETF, 테마지수 ETF로 나뉩니다.
대표지수 ETF
대표지수는 우리가 흔히말하는 주가지수인데 S&P500, 코스피200, 코스닥150, 다우, 나스닥100 등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지수인 코스피200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200개 종목을 시가총액의 비율대로 넣어놓은 지수입니다. 주식시장에서 시가총액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이버, 카카오 등이 들어가있죠. 그런데 개인투자자가 코스피200 지수에 있는 200개 종목을 다 살 수 없습니다. 다 합치면 2022년 3월 19일 기준으로 1830조가 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코스피200 ETF은 이 200개 종목을 개인투자자분들도 쉽게 사고팔수 있도록 쪼개서 주식시장에 넣어놓은겁니다. 대표적인 코스피 200 ETF인 KODEX 200의 한주 가격은 36,000원대로 주식같이 쉽게 살 수 있습니다.
코스피200 지수는 분기마다 종목도 바뀌고 종목 비율도 바뀌게 됩니다. 시가총액이 바뀌기 때문이죠. 그러면 당연히 이대표지수를 추종하는 코스피 200 ETF도 종목과 비중이 바뀝니다. 대표적인 코스피200 ETF는 KODEX 200, TIGER 200, KINDEX 200 등이 있습니다. 운용사마다 ETF 이름만 다를 뿐 추종하는 대표지수는 같고 들어가 있는 종목도 같습니다. 코스피나 코스닥 전체에 투자하는 KODEX 코스피 같은 종목도 있습니다.
각 나라들의 대표 종목에 투자하고 싶을 때는 대표지수 ETF들에 투자하면 되겠죠? 국내 주식시장에는 미국, 중국, 일본 등의 대표지수 ETF까지 모두 상장되어 있습니다.
업종지수 ETF, 테마지수 ETF
업종에 따라서 종목들을 나눠놓은 기초지수인 업종지수도 있고 당연히 업종지수를 따라가는 ETF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KODEX 반도체' ETF 같은 경우, 반도체 업종을 대표하는 종목들로 이루어져 있는 업종지수인 KRX 반도체를 기초지수로 삼는 ETF입니다.
요즘 엄청 시장에서 유행하는 ETF가 테마지수 ETF입니다. 이 테마지수 ETF는 지수를 만들어주는 회사와 운용사가 협력해서 콘텐츠면 콘텐츠, 이차전지면 이차전지 이런 테마지수를 만들어서 운용하는 ETF입니다. 유행하는 산업테마에 맞게 대표 종목들만 투자할 수 있어서 인기가 있는 것 같습니다. 대표적인 테마지수 ETF로는 요즘 유행하는 메타버스 ETF, 게임산업 ETF, 콘텐츠 ETF 등이 있습니다. TIGER 2차전지테마, 하나로fn골프테마, KODEX2차전지산업 이런 이름들로 되어 있는게 다 테마지수 ETF에 속합니다.
내가 한국 주식시장에 있는 종목 전체에 투자하고 싶을 때는 KODEX 코스피 같은 ETF를, 바이오 업종에 투자하고 싶을 때는 KODEX 바이오 ETF를 내가 요즘 뜨고있는 골프에 투자하고 싶을 때는 HANAROFN골프테마 같은 테마 ETF에 투자하면 됩니다. 이렇게 ETF는 개인의 취향에 맞게 너무나 쉽게 종목들에 한번에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좀 극단적으로 말해서 내가 이차전지에 너무 투자하고 싶은데 잘 모르겠을 때, 그냥 이차전지 테마의 주요 종목이 들어있는 KODEX2차전지산업 사면 해결되는겁니다 너무 쉽죠?
ETF 종목들은 엄청 많기 때문에 내가 원하는 투자를 쉽게 할 수 있습니다.
ETF 종목 이름 보는 방법
ETF가 종목도 너무 많은데 처음보면 KODEX, KINDEX, TIGER 등등 뭐가 뭔지 모르겠죠? 알고보면 되게 알아보기 쉽게 되어있습니다. 종목 이름 첫부분은 운용사에서 운용하는 브랜드 이름이예요. KODEX, KINDEX, TIGER, KBSTAR 이런 것들은 다 자산운용사에서 만든 ETF 브랜드 이름입니다. 그리고 두번째 부분에는 투자하는 지역이 쓰이게 되고, 다음에는 기초지수(대표지수, 업종지수, 테마지수)가 마지막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미국의 대표지수인 S&P500에 투자하는 종목으로 KODEX미국S&P500이 있습니다. 첫부분에서 삼성자산운용이 만든 KODEX 브랜드라는걸 알 수 있구요. 두번째 부분에서 미국에 투자하는 마지막으로 S&P500이라는 대표지수에 투자하는 종목이라는걸 알수 있죠.
쉽죠? 하나만 더 알려드리자면 KODEX 200은 뭘까요? 코스피200에 투자하는 ETF죠. 왜 KODEX한국코스피200이라고 쓰이지 않을까요? 이렇게 우리나라에 투자하고 있으면 나라이름과 대표지수를 생략하기도 합니다.
KODEX 200 IT는 뭘까요 코스피200 지수의 IT업종에 투자하는 종목이라는 걸 잘 알 수 있겠죠?
ETF에 대해서는 말할 수 있는게 엄청 많은데요. 이정도만 알아도 ETF를 사고파는데는 문제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 ETF는 ISA계좌에서 담아야 하는 이유 (0) | 2022.03.21 |
---|---|
삼성전자 vs 삼성전자우선주 어느 주식을 사야할까? (0) | 2022.03.20 |
삼성전자 주식 배당금 지급일, 분기배당, 주주환원정책 (0) | 2021.01.10 |
[주식 세금 상식] 주식은 얼마부터 양도소득세를 낼까? (0) | 2021.01.06 |
주식투자, 취업 관련 기업 매출, 실적 확인하는 방법 (0) | 2020.1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