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득종합과세란?
금융소득은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을 합한 소득을 말합니다. 이런 금융소득이 전체 2천만원을 넘지 않으면 15.4% 원천징수로 세금 의무는 끝납니다.
그러나 금융소득의 2천만원이 넘은 초과분에 대해서는 다음해 5월에 다른 종합소득과 합산하여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여야 합니다. 신고 후 세금을 납부해야 하면 초과분에 대해서 종합소득과 합하고 누진세율(6.6%~49.5%)이 적용되어 세금을 내게 됩니다.
이것이 금융소득종합과세입니다.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금융소득으로 포함되는 모든 이자소득, 배당소득이 종합과세 대상이 됩니다. 은행에서 받는 예금이자, 채권이자, ETF수익금, ETF분배금, 주식배당금 등이 있습니다.
금융소득종합과세 세율 및 계산방법
금융소득종합과세도 종합소득세에 포함되기 때문에 종합소득세율에 따릅니다.
그래서 총 종합소득금액에 대한 세율부터 알고 금융소득종합과세 금액에 대해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한해 금융소득이 5,000만원이고 근로소득(또는 사업소득)이 3,000만원이면,
총 금융소득은 8,000만원입니다. 8,000만원의 종합소득세율은 지방소득세 포함 26.4%의 세금이 붙게 됩니다.
여기서 2,000만원까지는 15.4로 분리과세 된다고 했죠?
그러므로 금융소득 3,000만원의 26.4%인 792만원에서 15.4% 원천징수한 금액을 빼면 추가로 납부해야할 금융소득종합과세 금액이 나옵니다. 금융소득 5,000만원일 때 추가납부금액은 330만원이 되는 것이죠.
왜냐하면 총 금융소득 5,000만원에서 우리의 통장으로 들어오는 금액은 15.4% 원천징수된 금액이기 때문입니다.
원천징수 된 금액을 뺴고 5,000만원을 벌었는데 330만원을 세금으로 내야 한다니 엄청 크게 느껴지는데요.
아래에서 절세방법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종합소득세율 표를 보고 여러분의 소득금액을 더해서 종합소득세율을 보고 이번에 내야할 금융소득종합과세 계산해보시길 바랍니다. 대략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은 이와 같고 금융소득종합과세가 발생하는 경우, 많이 복잡하기 떄문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전문가에게 맡기는 방법도 있습니다.
금융소득종합과세 절세 방법
·증권사 중개형 ISA 계좌를 통해 투자
ISA 계좌를 통해 투자하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ISA계좌는 200만원까지의 모든 배당소득은 공제되고 200만원 초과분부터는 9.9% 분리과세됩니다. 의무가입기간 3년 총 원금 1억원까지 넣어서 투자하실 수 있으니 꼭 ISA 계좌에서부터 투자 시작하시길 권해드립니다.
연간 2,000만원씩 그리고 2023년부터 ISA 계좌로 발생된 모든 이익은 비과세입니다. 그리고 ISA계좌안의 배당소득금액 제외하고 투자원금에 초과하는 금액 아래에서는 자유롭게 인출 가능합니다. 다만 직년 3개년도 동안에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 한번이라도 들어갔다면 ISA 계좌는 개설 불가능합니다.
·비과세종합저축을 통한 절세
비과세종합저축은 역시 금융소득종합과세 비과세 상품으로 올해 2022년 12월 31일까지 가입 가능하니 역시 직년 3개년도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분 제외하고 만 65세 이상의 모든 국민이 가입 가능합니다.
금융소득 조회방법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되는지는 홈텍스에서 금융소득 조회 방법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홈텍스에 접속 후 로그인한후 신고/납부 > 종합소득세 클릭합니다. (위 그림 참고)
종합소득세 신고 화면이 뜨면 아래에 금융소득 조회 메뉴가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본인의 금융소득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확인하신 후 2,000만원 초과하셨다면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 때 같이 신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오늘은 금융소득종합과세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재테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엠캐피탈 357-1 채권 이자수익률 6.58%! (0) | 2023.11.15 |
---|---|
특례보금자리론 대상 조건 금리 한도 신청방법 (0) | 2023.01.17 |
CMA통장이란? (0) | 2022.03.22 |
이자가 매일 계좌로 슉슉 토스뱅크로 일복리 가능! (0) | 2022.03.16 |
근로자 자영업자 코로나생계지원금 융자 신청 방법 (0) | 2022.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