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주식분석

하스 공모주 분석

말식이 2024. 5. 13.
반응형

K-임플란트가 세계적으로 좋은 실적을 내고 있는 가운데, 치과 관련 기업이 상장하는데요. 하스(하스바이오) 공모주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블로그에서는 장기적 투자를 위한 기업 분석을 지향합니다. 

 

 

하스 비지니스 모델 - 제품 

 

하스는 치과 수복 소재를 만드는 기업으로, 수복이란 외부의 충격, 충치로 없어진 치아를 재료를 이용하여 다시 심는 치료법을 말한다. 심미성 있는 치과 보철 소재라고 보면 된다. 여러 치과 수복 소재중 하스는 리튬디실리케이트라는 소재를 이용한 치과 수복 소재에 집중한다. 주매출처는 치과나 기공소가 된다. 

 

23년 기준으로 해외에서 발생하는 매출이 91.7%로 수출 비중이 높다. 해외파트너사, 해외법인의 대리점, 직판을 통해 판매한다. 

 

주요 제품

주요 제품인 Amber mill

위의 사진은 결정화 유리 기술로 만들어진 amber mill 제품으로 이런 블록 형태로 판매되고 열처리를 통해 보철물이 만들어진다. 

 

디스크형태

디스크형태로 하나의 결정에서 하나의 보철물만 나오는 amber mill과는 다르게 여러 보철물을 만들 수 있는 디스크 형태의 제품도 출시 예정이라고 한다. 어떤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지 참고가 될 것 같다. 

 

 

하스 비지니스 모델 - 경쟁사

 

치과 소재시장 점유율

하스가 집중하는 리튬 디실케이트 시장은 리히텐 슈타인의 ivoclar가 장기간의 업력을 바탕으로 과점하는 시장이다. 하스는 ivoclar와 미국의 Dentsply sirona가 경쟁사이다. 하스의 점유율은 4%대 후반인 것으로 예상된다.  1위 업체의 점유율은 줄어들고 있는 추세로 보인다.

 

하스 비지니스 모델 - 진입장벽

 

국내 업체들은 복합 레진이나 지르코니아 소재가 주를 이룬다. 하스가 집중하는 리튬 디실케이드 결정화 유리 소재는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며 이런 원천 기술이 진입장벽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는 결정화 유리를 상용화한 치과 소재 기업은 없다고 한다. 하스는 결정화 유리 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치과 수복 소재는 의료기기에 속하기 때문에, 까다로운 인증, 인허가 등이 제품 수출에 대한 또다른 진입장벽으로 작용하는것으로 보인다. 치과 수복 소재는 장기간 사람의 구강내에 들어가 있어도 문제가 없는 제품이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임상케이스가 필요하다. 

 

해외 업체가 과점하는 시장이기 때문에 하스가 얼마나 좋은 제품으로 점유율을 기록하느냐가 지켜봐야할 투자포인트로 보인다. 

 

하스 비지니스 모델 - 원재료 리스크, 소송 위험, 유상증자 

원재료중 터븀 산화물은 희토류 원소인데 중국에 의존하고 있어 중국이 자원 무기화할 경우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설립이후 유증 내역

회사 설립후 많은 유상증자를 실시하였다. 상장 후의 주식 발행도 지켜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특허 3건에 대한 이의신청이 발생하여 2건에 대하여 투자시 모니터링해야한다. 2013년 패소한 바 있다. 

하스 비지니스 모델 - 성장성

하스는 70여개국으로 수출중이며 3D 프린팅 소재 치과용 시멘트 기술이라는 신규 사업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 3공장 투자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통한 매출 증대가 기대되고 있다. 또한 미국 1위 치과 기업과 파트너로 미국내 매출 증대 기대된다.

동사의 매출은 2021년 125억 2022년 149억 2023년 160억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였다. 인구 고령화와 따라 치과 소재는 장기적으로 성장성이 있는 사업으로 여겨진다.

 

추정 손익

회사의 예상 추정 실적은 2024년 매출액 260억, 영업이익 56억, 순이익 42억이다. 

하스 공모가 분석

 

하스의 예상 시총은 705억~940억이 될것으로 보이며, 2023년 순이익 17억 기준으로 per 밴드 41~55이다. 

24년 예상순이익 42억 기준으론 PER 밴드 16~22배이다. 

 

하스 수익성 분석 

하스 수익성

매출은 최근 3개년 계속 증가세이며 매출총이익률은 55%로 3개년내에 제조업인것을 감안하면 10% 이상의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2022년까지 10% 후반대 이익률을 기록하였으나 아쉽게도 2023년에는 이익률이 감소하였다. 

반응형

댓글

💲 추천 글